본문

서브메뉴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 조항제 지음
내용보기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85521831 93300 : \25000
KDC  
071.1-4
청구기호  
071.1 조696ㅎ
저자명  
조항제
서명/저자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 조항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컬처룩, 2020
형태사항  
363 p : 삽도 ; 23 cm
총서명  
방송문화진흥총서 ; 206
서지주기  
참고문헌(p. 325-356)과 색인(p. 357-363) 수록
키워드  
언론 미디어 한국언론 민주화 민주주의
가격  
\25000
Control Number  
ydul:177801
책소개  
언론 없이 정치나 민주주의를 말할 수 있는가
한국 정치는 그 자체로 ‘정치 언론’이거나 ‘언론 정치’

한국의 언론은 정치를 보도할 때, 장점을 부각해 신뢰를 높이기보다는 약점을 더욱 부풀려 불신을 조장한다. 정치 역시 언론을 이용해 상대를 공격하고 지지자를 결집한다. 조국 사태에서 ‘서초동’과 ‘광화문’으로 극단적으로 대조되는 흔히 진영화로 불리는 양극화는 이렇듯 정치와 언론 사이의 합작품이다. 전통적으로 언론에는 사회 단위 간, 각축하는 세력 간 갈등을 줄여주는 상관 조정 기능 같은 게 있지만, 언제부터인가 한국 언론은 이런 기능을 거의 쓰지 않는다.
과거에도 그랬지만 이제부터는 더욱더 미디어를 떠난 정치는 그 자체로 불가능하다. 장외 정치, 직접민주주의, 시민민주주의 등으로 불리면서 거리로 나온 외침조차도 미디어로 보도되지 않으면 그저 ‘먼 곳의 메아리’일 뿐이고, 저마다 손에 든 스마트폰이 아니면 이제는 아예 ‘군중’(스마트몹)조차 될 수 없다. 굳이 미디어화론 같은 전문적 이론을 원용하지 않더라도 현실의 이런 추세를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다. 이 책은 이러한 민주주의와 언론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할 뿐만 아니라 한국의 민주화와 언론 관계를 살핀다. 특히 민주화 이후 펼쳐진 정치-언론의 문제를 치밀하게 분석하고 있다.
한국의 민주주의와 미디어 관계를 오랫동안 연구해온 저자는 미디어 논리에 맹목적으로 따르기에는 한국 정치의 현주소가 웅변으로 보여 주는 바대로 상당한 어려움을 자초할 수 있다고 말한다. 현실의 추세를 거스르지 않되 기존 민주 제도의 핵심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디어를 잘 활용하면서도 미디어화가 낳는 여러 현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의 부작용을 경계하는 정치적 태도와 실천이 그것이다. 저자는 이를 ‘포스트미디어화 민주주의postmediatized democracy’라고 부른다.
민주화 이후 한국 정치와 언론의 관계를 치밀하게 분석하며 변화하는 미디어의 올바른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는 이 책은 민주적 정치 제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미디어 생태계의 긍정적인 방향을 찾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대출신청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314144 071.1 조696ㅎ 아산캠퍼스 대출가능 대출가능
대출신청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