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불신당하는 말 : 권력은 왜 피해자를 신뢰하지 않는가
불신당하는 말 : 권력은 왜 피해자를 신뢰하지 않는가 / 데버라 터크하이머 지음 ; 성원 옮김
내용보기
불신당하는 말 : 권력은 왜 피해자를 신뢰하지 않는가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87064985 03330 : : \19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KDC  
334.223364.244-4
청구기호  
334.223 터56ㅂkㅅ
저자명  
터크하이머, 데버라
서명/저자  
불신당하는 말 : 권력은 왜 피해자를 신뢰하지 않는가 / 데버라 터크하이머 지음 ; 성원 옮김
발행사항  
서울 : 교양인, 2023
형태사항  
359 p. ; 22 cm
서지주기  
주석: p. 321-359
원저자/원서명  
Tuerkheimer, Deborah /
원저자/원서명  
Credible : why we doubt accusers and protect abusers
키워드  
성폭력피해자 성범죄피해자 피해경험 언어폭력 공모구조 역차별
기타저자  
성원
기타서명  
권력은 왜 피해자를 신뢰하지 않는가
가격  
\19000
Control Number  
ydul:185810
책소개  
피해자가 입을 열어 진실을 말하는 순간,
신뢰성 재판이 시작된다

성폭력 사건에서 유무죄를 가리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피해자의 진술? 증인? 확실한 법의학 증거? 유능한 변호사나 검사? 문제는 신뢰성이다. 성폭력 사건은 피해자가 피해 사실을 고발하는 순간 신뢰성 재판으로 넘어간다. 피고인에 대한 무죄 추정 원칙을 넘어설 만큼 확실한 증거도 이 재판에선 종종 무의미하다. 이 재판에서 여성 피해자에게 주어지는 기본값은 불신이다.

신뢰성 판단은 막강한 권력이다. 고발인과 피고발인 모두에게 공정해야 할 신뢰성 판단은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왜곡되기 일쑤다. 그로 인해 여성 피해자의 신뢰성은 끊임없이 폄하되고 남성 가해자의 신뢰성은 부풀려진다. 피해자는 ‘거짓말쟁이’가 되고, 잘못은 피해자의 책임이 되며, 고통스러운 피해는 대수롭지 않은 일로 여겨진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가?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신뢰성 인식은 어떻게 왜곡되는가? 피해자는 어떻게 불신당하고, 책임을 뒤집어쓰고, 무시당하는가?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대출신청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318032 334.223 터56ㅂkㅅ 아산캠퍼스
대출신청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