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20세기, 그너머의 과학사
20세기, 그너머의 과학사 / 존 에이거 지음 ; 김동광 ; 김명진 옮김
내용보기
20세기, 그너머의 과학사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88964621899 93900 : : \42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eng
KDC  
409-4
청구기호  
409 에323ㅇkㄱ
저자명  
에이거, 존
서명/저자  
20세기, 그너머의 과학사 / 존 에이거 지음 ; 김동광 ; 김명진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뿌리와이파리, 2023
형태사항  
845 p. ; 24 cm
서지주기  
색인: p. 809-845
서지주기  
후주: p. 719-808
원저자/원서명  
Agar, Jon /
원저자/원서명  
Science in the 20th century and beyond
키워드  
과학이야기 과학사
기타저자  
김동광
기타저자  
김명진
기타서명  
이십세기, 그너머의 과학사
가격  
\42000
Control Number  
ydul:185997
책소개  
아인슈타인의 새로운 물리학에서 맨해튼 프로젝트까지,
미사일, 사이버네틱스를 거쳐 네트워크, 인공지능, 새로운 생명체의 탐색까지
실행세계 모델을 통해 들여다본 20세기 과학의 조감도

우리가 과학의 진보에 관해 잘못 알고 있는 것들

흔히들 그렇게 생각한다. 마치 수도승처럼, 골방에 틀어박혀 묵묵히 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들이 새로운 법칙과 물질을 발견하고, 그것이 우리를 진보로 이끌어 현대 문명이라는 찬란한 성과를 이룩했다고. 환경 오염과 전쟁 같은 것은 과학의 오용이며, 과학의 진보에 있어서 그것은 일종의 부작용 같은 것이라고. 그러나 이 책, 「20세기, 그 너머의 과학사」는 이러한 선입견에 강력한 반론을 제기한다. 최근 100년간 과학의 역할은 계속해서 바뀌어왔으며, 과학의 목적은 물론 목적에 이르는 경로 역시 격변해왔다는 것이다.
오늘날 과학의 발전은 과학자 자신의 호기심과 의욕에만 달려 있지 않다. 전쟁과 행정, 시장(혹은 거대 기업)의 요청이라는 현실, 즉 ‘실행세계(working world)’가 과학의 발전을 추동하며, 나아가 발명과 발견까지 계획적으로 설계하고 진행해나간다. 골방 속 과학자 역시 현실 속에서는 기업이나 연구소의 연구원, 교수를 거쳐 강력한 자기 홍보와 후원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자-기업가로 대체된 지 오래다. 과학자는 홀로 연구하지 않는다. 과학자는 과학자 공동체(scientific community) 속에서 활동하며, 후원과 성과를 놓고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학제를 넘어 협력한다. 그러나 이렇게 변한 과학자 공동체 역시 20세기 과학의 한 특징이기도 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점차 과학사 연구의 주류로 부상하고 있는 ‘20세기 과학사’의 기존 연구 성과를 집대성하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해석을 덧붙인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저자가 책 전체의 기본 틀로 제시하고 있는 ‘실행세계’라는 개념이다. 저자는 과학사에서 오래전부터 쓰여온 ‘맥락(context)’이라는 개념이 너무나 진부해져 의미를 상실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대신해 ‘실행세계’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최근 타계한 과학기술학자 브뤼노 라투르의 논의를 연상케 하는 이러한 성격 규정을 통해, 책은 양자물리학에서 생명공학 혁명에 이르는 지난 100여 년간의 과학사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대출신청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76999 409 에323ㅇkㄱ 본교일반자료실
대출신청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