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이야기치료 단기상담사례집 = Brief counseling casebook of narrative therapy
이야기치료 단기상담사례집 = Brief counseling casebook of narrative therapy / 김희숙 저
내용보기
이야기치료 단기상담사례집 = Brief counseling casebook of narrative therapy
자료유형  
 단행본
ISBN  
9791192867489 93510 : : \15000
KDC  
186.5-4
청구기호  
186.5 김998ㅇ
저자명  
김희숙
서명/저자  
이야기치료 단기상담사례집 = Brief counseling casebook of narrative therapy / 김희숙 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메디컬, 2023
형태사항  
ix, 150 p. : 삽도 ; 24 cm
키워드  
심리치료 이야기치료 상담
가격  
\15000
Control Number  
ydul:187703
책소개  
상담자의 치료적 의사소통기법으로 내담자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상담사례집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한 철학자 Aristoteles의 말처럼, 인간은 절대로 혼자서 살 수 없다. 타인과 함께 살지만 서로 생각과 가치관이 달라 많은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한 상심으로 마음과 몸이 아프기도 한다. 실제로 가장 가까운 부모와 형제 사 이에도 마음을 다치고, 친구 사이, 학교나 직장, 심지어는 지나가는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끊임없이 마음을 다쳐 힘들어 한다. 이에 더하여 COVID-19가 장기화되면서 사회적·문화적·경제적으로 부조리한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한국은 인터넷 강국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이러한 문제들로부터 발생한 갈등 상황들이 다양한 인터넷 매체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어 많은 사람들이 함께 분노하거나 좌절함으로써 우울, 자살 등의 정신건강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저명한 정신과의사 Scott Peck은 『아직도 가야할 길(The Road less Traveled)』이라는 책의 1장에서 “인생은 고해(Life is difficult)라는 것을 인정하면 인생의 절반은 성공이다.”라고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이 책을 읽다 보면, “이렇게 세상을 살면서 힘들 때 상담실 문을 두드리면 인생의 나머지 절반도 성공이다.”라는 내용이 나온다. 이렇게 내담자가 아프고 상한 마음으로 상담실에 왔을 때 어떤 상담이론을 적용한 상담이든 도움은 되어 왔다. 하지만 상담에서 대상자의 문제를 파악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증상이나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과정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보다 내담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강점을 발견해냄으로써 내담자의 자존감을 빠른 시간 내 향상시키는 것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내담자들이 자신들의 고통스러운 문제나 증상들을 개선하거나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개인이 무너지지 않고 견디는 힘, 즉 자존감이 낮아지지 않고 높아지도록 돕는 것이 제일 우선이기 때문이다.
Michael White와 David Epston이 주창한 이야기치료에서 말하는 상담자는 내담자가 변해야 함을 설득하기보다 힘든 상황을 인정하면서도 그 틈 속에서 내담자가 이미 가진 강점이나 노하우, 문제에 적용했던 대처방법 등을 찾아내는 발견자여야 한다. 이때 상담자 는 깊은 관심과 호기심 어린 눈으로 내담자가 속한 사회문화적 담론 뒤에 숨어 있는 의미들과 내재하고 있는 힘의 역학관계 속에서 내담자의 문제와 힘듦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현 시스템 속에서도 익숙한 것을 낯설게 보는 다른 시각을 가지고 내담자의 이야기를 듣는다. 다시 말해, 이야기치료에서의 상담자는 기존 치료에서처럼 능숙한 전문가로서 내 담자를 변화시키기 위해 설득하거나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가 자신에 대한 전문가임을 인정해 준다. 또한 개방적 질문과 반영 등 다양한 치료적 의사소통기법을 활용함과 동시에 해체적 경청 자세로 내담자를 대함으로써 내담자가 이미 가지고 있었지만 잊고 있었던 자신의 긍정적 정체성 영역을 잘 탐색하도록 길을 안내한다. 따라서 내담자는 자아 성찰, 자기 확신, 자기 확장을 스스로 도모하게 됨으로써, 어떤 것에도 의존하거나 원망하지 않고 상담자가 바라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방향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 책은 본 저자가 대학에서 정신간호학 교수로서 석사과정인 정신전문간호사과정생들과 정신전문요원 수련과정생들을 대상으로 단기간에 근거 있게 내담자의 긍정적 정체성을 발견하도록 돕는 이야기치료의 관점과 기법을 가르치고 훈련시키면서, 지역사회 정신 건강복지센터장으로서 현장에서 이야기치료를 실천하면서, 함께 한 대상자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각색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보기에 따라서는 White와 Epston이 주창한 이야기치료 이론을 그대로 담지 못했다고 할 수 있으나, 이야기치료를 설명하고 현장에서 실천적으로 적용한 이야기치료를 활용한 다양한 책 가운데 하나로 봐 주기를 바란다.
추가적으로 이 책 내용의 생생하게 전달함으로써 실제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함께 제작된 동영상을 활용할 수 있다. PART I 이야기치료 이론에 대한 설명 동영상과 PART II 사례 1~4의 각 대상자별 시나리오에 따른 상담 동영상은 책에 삽입된 QR 코드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이 책이 여러 정신건강관련 분야의 학생들, 수련생들과 초보 상담가들에게 다양한 갈등 때문에 너무 고통스러워 심하게 흐트러지고 아픈 어떤 내담자를 만나더라도 그 내담자가 인식하지 못했을 뿐 이미 가지고 있었던 자신의 긍정적 정체성을 힘들이지 않고 찾도록 돕는 이야기치료를 활용한 단기상담방법을 연습시키는 책으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대출신청
  • 나의폴더
  • 우선정리요청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0178153 186.5 김998ㅇ 본교일반자료실
대출신청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